-
- “고기가 시큼해” 상한 음식 구별하는 TIP
- 2022-08-10
-
- “식중독 주의” 쉽게 상하는 음식 5
- ▲ 두부 수분이 많은 두부는조리 후에도 수분이 생겨나기 때문에세균이 번식하기 쉬워요. 따라서 상온 보관은 피해야 하며냉장고에 보관하더라도빠른 시일 내에 섭취해야 합니다. ▲ 새싹 채소 채소에는 수분이 많기 때문에여름철이 되면 식중독을 일으키기 쉬운데요. 특히 무순, 유채싹 등의 새싹 채소는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재배되어세균 번식이 활발합니다. 새싹 채소에 검은 반점이 생겼다면먹지 못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버려야 합니다. ▲ 생크림 생크림 역시여름에 특히 주의해야 하는 음식입니다. 우유로 만들어져 상하기 쉽고,상온에 보관할 경우 하루 만
- 2022-06-14
-
- 배불러도 계속 먹는데, 나도 혹시 음식중독?
- 배고프지 않은데끊임없이 음식을 먹게 된다면‘음식중독’을 의심해볼 수 있어요. 음식중독은 배고픔을 채우기보다는,음식을 통해 정신적 쾌감을 얻고자음식을 과다 섭취하는 것을 말하는데요. 고지방, 고칼로리 음식이나정제설탕이 많이 들어간 음식이자꾸만 먹고 싶은 것도중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음식 중독인 경우과식과 폭식을 자주 하게 되는데요. 이는 구토, 소화불량 등위장 건강에 악영향을 줍니다. 식사 후에도 자꾸만 간식을 먹는다면,음식중독이 아닌지 스스로 체크해볼 필요가 있어요. 세계보건기구(WHO)에서는8개의 진단기준 중 3가지 이상에
- 2022-04-20
-
- 봄철 조개류 섭취가 위험한 이유
- 봄철에 특히 주의가 필요한 ‘패류독소’ 식중독. 패류독소는 조개, 굴, 홍합 등 조개류와멍게, 미더덕 등 피낭류 내에 축적되어,사람이 섭취하면 마비, 설사, 기억상실 등의중독증상을 일으킵니다. 매년 3월부터 남해연안을 중심으로 발생해점차 동·서해안으로 확산되며, 해수 온도가 15~17°C일 때 최고치였다가18℃이상으로 상승하는 6월 중순경에자연 소멸됩니다. ◎ 패류독소 중독증상은? 우리나라에서 자주 발생하는 패류독소는마비성 패류독소인데요. 섭취 시 30분 이내에 입술 주위부터 마비되며점차 얼굴, 목 주변으로 퍼집니다. 두통이나 구
- 2022-03-15
-
- 당신이 야식을 끊지 못하는 이유
- 밤만 되면 입맛이 싹 도네...나도 혹시 ‘야식 증후군’?! 야식증후군이란? 아침, 점심에는 식욕이 없지만밤이 되면 식욕이 생겨습관적으로 야식을 먹게 되는 증상으로, 저녁 7시 이후에하루 총 식사량 절반 이상을 섭취하는 경우‘야식 증후군’이라고 할 수 있어요. 습관적으로 야식을 먹게 되면소화가 되지 않은 채 수면을 취하는 일이 반복돼소화장애, 수면장애를 유발해요. 또 영양분이 체지방으로 바뀌어살이 찌기도 쉬워집니다. 당신이 야식을 끊지 못하는 이유 야식증후군의 원인은 ‘스트레스’ 때문입니다.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스트레스 호르몬인
- 2021-12-15
-
- 주의해야 하는 여름철 질병과 예방법
- 식중독 △ 상한 음식, 오염된 음식을 먹었거나음식 자체의 독성 때문에 생기는 질병. △ 대체로 24시간~72시간 내에설사, 발열, 구토, 복부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요. 증상이 심하면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아요. ▲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요리나 식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, 음식은 익혀서 먹는 것이 좋아요. 또, 한 번 조리했던 음식은재가열 한 뒤 먹어야 해요. 우리나라의 여름 날씨는 온도가 높고 습하죠. 이는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이므로남은 음식은 냉장/냉동 보관하는 게좋습니다. 냉방병 △ 지나친 냉방으로 실내와 실외
- 2021-07-20
-
- 맥도날드 햄버거 이번엔 식중독 세균 논란
- 일명 '햄버거병(용혈성요독증후군) 논란'이 불거진 맥도날드 햄버거에서 식중독균이 기준치보다 3배 초과 검출되면서 향후 법적 분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. 한국소비자원(원장 한견표)은 11일 맥도날드 등 프랜차이즈 6개 업체와 GS25 등 편의점 5곳에서 판매되는 햄버거 38종에 대한 위생실태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. 소비자원 조사 결과 38개 제품 중 맥도날드 불고기버거에서만 식약처 고시 허용기준치(100/g 이하)를 초과하는 황색포도상구균이 340/g이 검출됐다. 황색포도상구균은 대표적인 식중독균이다. 당초 우려했던
- 2017-08-11